라우팅
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.
컴퓨터 네트워크는 노드라고 하는 여러 시스템 + 노드를 연결하는 경로(링크)로 구성된다.
상호 연결된 네트워크에서, 두 노드간 통신은 여러 경로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.
라우팅은 미리 정해진 규칙을 사용해 최상의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이다.
중요성
네트워크 통신의 효율성 향상
라우터
컴퓨팅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네트워킹 디바이스
보통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한다.
쉽게 말하면, 라우팅을 수행하는 것.
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다음 목적지에 전달한다.
기본 기능
- 경로설정
- 소스에서 대상으로 이동하는 데이터의 경로 지정
- 네트워크 지표(지연, 용량, 속도 등) 분석 -> 최상 경로 찾으려고 시도
- 소스에서 대상으로 이동하는 데이터의 경로 지정
- 데이터전달
- 선택한 경로의 다음 디바이스로 데이터 전달. 최종적으로 대상에 도달하도록 함
- 디바이스-라우터는
- 동일 네트워크 위치
-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위치
- 디바이스-라우터는
- 선택한 경로의 다음 디바이스로 데이터 전달. 최종적으로 대상에 도달하도록 함
- 로드밸런싱
- 여러 경로를 사용해 동일 데이터패킷의 여러 사본을 전송할 수 있음
- 데이터 손실로 인한 오류 줄임
- 이중화 구현
- 트래픽 볼륨 관리
- 여러 경로를 사용해 동일 데이터패킷의 여러 사본을 전송할 수 있음
라우팅 테이블
IP 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터의 위치를 저장한 테이블(데이터베이스)
- 다양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
- 해당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
라우팅 테이블의 구성요소
네트워크 대상 Network Destination |
목적지 네트워크의 IP 주소 |
서브넷 마스크 Netmask |
대상 주소를 설명할 때 쓰이는 값 |
게이트웨이 Gateway |
이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홉/패킷이 전달되는 다음 IP 주소 만약 목적지가 로컬 네트워크라면, connected라고 표기됨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라면 해당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를 가리킴 |
인터페이스 Interface |
게이트웨이로 가기 위해 거치는 장치. 10.0.0.2는 eth3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. |
메트릭 Metric |
우선순위. 패킷 전송을 위해 최적의 경로가 선택되도록 참고되는 값. 동일한 라우팅 테이블 요소가 2개가 있다면, metric이 낮은 요소가 선택된다. 일반적으로 hop count가 들어가며, 지연시간/처리량 등이 들어갈 수 있다. |
게이트웨이
프로토콜 변환기. 관문이라고도 부른다.
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잇는 장치이며, 라우터와 하는 기능 자체는 비슷하다.
홉
hop은 네트워크에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한 장치.
홉 카운트는 데이터가 출발지~목적지 사이에서 통과해야할 홉의 개수
라우팅을 홉 바이 홉 통신이라고도 한다.
ref.
https://aws.amazon.com/ko/what-is/routing/
라우팅이란 무엇인가요? - 네트워크 라우팅 설명 - AWS
라우팅이란 무엇인가요? 라우팅은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입니다. 컴퓨터 네트워크는 노드라고 하는 여러 시스템과 이러한 노드를 연결하는 경로 또는 링크로 구성됩니다. 상
aws.amazon.com
[CS] 라우팅 개념과 라우터, 라우팅 테이블
라우팅 개념과 라우터, 라우팅 테이블 라우팅 라우팅(Routing)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(패킷)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이며 라우터가 이를 수행 데이터는 보통 출발지에서 목적지로
jhlee-developer.tistory.com
https://m.blog.naver.com/dao8500/221448054356
게이트웨이(Gateway)란?
이번에 esp8266을 사용하면서 게이트웨이, AP 등 처음 들어보는 용어를 들으면서 이것들에 대한 이해도 ...
blog.naver.com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헤더 (1) | 2024.07.15 |
---|---|
IP주소체계 (0) | 2024.07.15 |
QUIZ2 (1) | 2024.07.01 |
3-way handshake, 4-way handshake (0) | 2024.07.01 |
TCP/IP 4계층: 응용 계층, 전송 계층, 네트워크 계층 (2) | 2024.07.01 |